-
[Network] 회선 교환과 패킷 교환컴퓨터/HTTP_네트워크 2020. 8. 1. 14:21
* 데이터 통신
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
* 여러 컴퓨터와 연결하는 방법
1) 회선 교환
교환기를 사용해서 파이프를 교체해가는 방식
동시 통화에 필요한 수 만큼 회선이 필요하다.
- 전화 : '교환기'를 사용해서 적은 파이프로도 다수의 접속이 가능
각각의 전화기는 교환기와 연결되어 있고, 교환기끼리 복수의 전화선으로 연결돼 있다
2) 패킷 교환
연결되어 있는 파이프에 분할한 패킷을 보내는 것
복수의 컴퓨터가 회선을 공유할 수 있다.
how? 큰 데이터를 분할해서 packet이라고 부른다.
분할했으므로 패킷 1개를 보내는 시간이 짧아진다.
패킷이 회선을 점유하는 시간이 짧아진다.
패킷과 패킷 사이에 다른 패킷을 넣을 수 있다.
서로 다른 복수의 패킷이 한 개의 회선을 사용할 수 있다.
한 개의 회선에 복수의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다!
장점 ) 복수의 컴퓨터가 사용할 수 있다.
단점 ) 패킷마다 따로따로 송신하기 때문에 반드시 송신한 순서대로 수신처에 도달한다고 할 수 없다.
도착하는 시간이 불규칙하다
* 각각의 방식에서 교환기
- 회선 교환 방식 교환기 : 회선을 교체해서 연결
- 패킷 교환기 : 수신처가 연결되어 있는 회선을 골라서 거기로 패킷을 송출
+ 사용하려고 한 회선이 사용중일 경우 일시적으로 저장했다가 회선이 비는 것을 기다리는 역할
실제 네트워크에서 라우터(router)가 이 역할을 한다.
Note : 라우터도 인터페이스를 갖는다.
source : 아미노 에이지 저, 하루 3분 네트워크 교실, 김현주 역, 영진닷컴